418623cf323c7ede2a7811f05f174a84.png

 

 

 

 

 

 

 

 

 

특집

갈수록 현대판 노예로 전락되는 이주노동자 경기 북부 한 제조업체 컨테이너 기숙사 경기북부 한 기업형채소농장 비닐하우스 안에서 농약 살포하는 이주노동자 경기북부 어느 기업형 채소농장 기숙사 꾸메르 씨 이야...
이주노동의 오늘과 미래 공장, 농어촌, 조선소, 택배 상하차, 이제는 가사도우미까지···. 우리 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2022년 현재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약 2,8...
싱가포르 이주가사노동자 제도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싱가포르의 외국인 가사노동자 제도 인구 560만 명, 면적은 서울의 1.2배인 도시국가 싱가포르는 다문화, 다인종 사회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한국, 대만, 홍...
이주노동자는 기계나 노예가 아니다 - 한국 이주노동자 제도의 문제점 한국의 이주노동자와 고용허가제 한국에 현재 이주노동자들의 숫자는 120만 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은 여러 비자 제도를 통해 한...
위험의 이주화: 노동의 약한 고리에는 언제나 위험한 일터가 있다 끊이지 않는 이주노동자의 산재 사망 올해 8월이 아직 보름도 채 지나지 않았지만, 수많은 이주노동자의 죽음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8월 3일, 인천 ...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 #sunny sunday 눈부신 햇살이 방안을 가득 채우는, 남편과 아이들이 모두 곤히 늦잠을 자는 화창한 일요일 아침, 난 살금살금 조용히 집 밖을 나선다. 콧노래를 부르며 벚꽃이 흐드러지게 핀 ...

기획

2022년 주요 대선 후보 비정규직 정책 질의 결과 20대 대통령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런데도 현재 정책 공방은 사라지고 네거티브만 난무한 ‘노동 없는 대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