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노동] 배달 플랫폼과 노동 안전

by 센터 posted Apr 26,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Files

이성종  플랫폼노동연대 대표

 

 

노동 안전 실태

 

배달 라이더(이하 라이더)들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 중의 하나는 당연히 교통사고를 포함한 안전사고로 인한 노동 안전의 문제이다. 일터가 주로 도로상이고 이륜차를 운전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외부로부터의 위험 요인이 존재하는 것에 더하여 촉박한 배달 시간이 주요인인데 이는 소비자의 빠른 배달 요구도 있지만 배달 플랫폼의 안전 불감 인식에 기인한 요인도 근본적 원인으로 살펴봐야 한다. ‘배달 노동의 실태와 보호방안’(2020 정홍준 한국노동연구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라이더들의 55.3%가 지난 1년 동안 안전사고를 경험하였고 전체 안전사고의 18.2%가 사망 사고이며 이륜차 사고는 매년 급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태조사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듯이 사고 예방에 중요한 키포인트인 안전 교육을 받는 비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법(이하 산안법) 제78조(배달종사자에 대한 안전조치)를 플랫폼 사업주들이 위반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라이더들은 책임보험만을 가입(71%)하고 있어서 사고가 발생하면 상대방에 대한 배상은 가능하지만 자신이 자차 수리와 자손에 대한 치료를 감당하므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고 자차와 자손까지 보상이 되는 유상운송종합보험은 보험료가 매우 높기 때문에 라이더들이 기피(6.3%)하고 있으며, 아무런 보험도 들지 않고(22.6%) 일하는 경우도 있어서 배달 플랫폼 시장에서 라이더들의 노동 안전은 자의반 타의반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는 지자체에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공공배달 플랫폼(전북 군산-배달의 명수, 경기도-배달특급, 인천 서구+연수구-배달서구+배달이음, 서울-제로배달유니온)조차도 이용(소비)자들을 위한 가격 할인 혜택과 중소자영업자들을 위한 수수료 할인 정책 등만 존재할 뿐 라이더들을 위한 노동 안전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라이더들은 플랫폼 노동자, 특수고용 노동자, 이동 노동자로 불리고 있다. 이 중에 법적 용어인 특수고용 노동자로 이야기한다면 라이더들은 현재 산재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는 14개 특수고용 직종 중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률이 낮다. 그 이유로는 산재보험 적용 제외 신청제도가 있어서 이를 사업주들이 악용(적용 제외 신청 권유, 유도)하고 있고 당사자들도 일부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산재보험법이 개정되고 적용 제외 신청 사유를 제한하는 내용을 추가하여 오는 7월부터 시행하게 되어서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모두 산재보험을 적용받도록 할 예정이라서 그나마 다행인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재보험을 가입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하여도 노동부에서 매년 고시하는 월평균 보수액을 라이더의 경우 낮게 책정함으로써 공단에서 지급하는 요양급여(1일 69,760원, 2021년 기준)가 다른 직종들에 비해서 턱없이 적기 때문에 요양기간 동안 생계를 유지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 아직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산재보험료를 사업주와 노동자가 1/2씩 부담하는 것을 폐지하고 산재보험법의 애초 취지대로 사업자가 100% 부담하는 것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 건은 현재 헌법 소원이 진행 중이다.

 

위와 같은 열악한 상황이 현존하고 법적 정의도 부재한 플랫폼 노동자인 라이더들의 노동 안전은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는 정부 차원의 각별한 인식을 통한 법제도적 장치를 시급히 마련하는 것, 그리고 사회적으로도 플랫폼 노동에 대해 통상의 노동자들과 다르지 않다는 대중적 인식이 동반되어야만 가능한 일일 것이다.     

 

현행법과 대책

 

현재의 법제도를 통해서 라이더들의 노동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산안법과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하 생물법)이 있다. 산안법에서는 플랫폼 운영자(사업주)가 라이더에 대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필요한 안전 조치 및 보건 조치를 하도록 되어 있다, 생물법에서는 이륜차 배달업을 하는 사업자는 라이더에 대하여 휴식시간 및 휴식 공간 제공 등 안전 조치 노력을 하도록 되어있다.

 

이성종_표1.jpg

 

 

그러나 사업자들의 관심은 라이더들의 노동 안전보다 자신들의 이윤 확대에 관심을 두고 있는 상황이라서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한마디로 산업재해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고, 때문에 한 부분의 대책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을 우리는 오랜 기간 경험을 통해서 이미 체득한 사실이다. 따라서 사업장 내에서의 재해 예방(안전 교육 등)을 기본으로 하고 법제도적 안전장치(산재보험과 고용보험 전면 적용 등) 마련, 그리고 사회적 합의(안전 배달료 보장을 통한 안전 배달 약속 등)를 통한 안전한 사회를 실현해 나아가는 것이 라이더들의 작지만 강력한 희망이다.

 

플랫폼 노동자들이 이야기하는 사회안전망 보장의 핵심은 노동 안전에서부터 출발해야 하고 궁극적으로 노동관계법에서의 노동자성을 인정하는 것을 해결책에서 누락해 버린다면 또 다시 오랜 기간 동안 이들은 기본적 인권과 노동권의 사각지대에서 인간다운 삶마저 박탈당한 채 살아가야 할 것이다.

 

이성종_표2.jpg

 

?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