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가 출판한 책들입니다. 구입문의: 02-312-7488 / kcwc@kcwn.org
공동편저 : 조돈문, 정흥준, 신희주, 김성호
기획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펴낸 곳 : 매일노동뉴스 | 2022. 9.
여성 노동자들이 얼굴을 붉히며 말한다. ‘오줌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화장실에 가려면 우선 인형부터 가져다 자리에 앉혀 두어야 한다. 이른바 오줌인형 잡기. 아주 먼 옛날 야만의 시대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기술혁신 논의가 난무하는 콜센터 노동현장 얘기다.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파일 업로드 중... (0%)
너희는 고립되었다 -기륭전자비정규직투쟁 1890일 헌정사진집
정택용 사진작가가 기륭전자 비정규직투쟁을 함께하면서 기륭전자 조합원들의 역사를 기록한 사진집. 문정현 신부와 조세희 소설가의 여는 글을 시작으로 백기완, 오철수, 김사이, 오도엽, 맹문재, 문동만, 박일환을 비롯 송경동까지 8명의 시인이 쓴 시 열 ...
어느 파견 노동자의 편지
파견노동자들의 생존 자체를 오히려 위협하고 있는 파견노동자보호등에관한법률에 대한 허울을 벗기기 위해 저자가 지난 5년간 월간 「비정규노동」에 발표해 왔던 시들을 책으로 엮었다. 그의 시에는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전혀 보장받지 못하고 차별과 인권...
이런시급 6030원
2016년 시급이 6030원으로 결정되기 까지. 올해는 역대 처음으로 최저임금위원회에 최저임금 당사자가 위원으로 들어갔다. 노동자위원, 사용자 위원, 공익위원 각 9명씩 모두 27명의 최저임금 위원이 해마다 다음해 최저임금을 결정한다. 그런데 양대 노총이 ...
사라져버린 사용자 책임
간접고용 비정규 노동자 가운데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과 학술적 연구에서 주변화됐던 직종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구직자와 사용업체를 매개하는 노동시장 중개기구들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해 간접고용 비...
노동권 사각지대 초단시간 노동자
공동편저 | 조돈문, 정흥준, 김영미, 남우근 공동기획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국가인권위원회 매일노동뉴스 | 2017 초단시간 노동자들은 근로기준법 등의 보호 제외 규정들로 인해 합법적 차별처우를 받고 있다. 정규직은 물론 여타 비정규직 범주들보다 훨씬...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공동편저 | 조돈문, 정흥준, 조경배 기획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매일노동뉴스 | 2016 한국비정규노동센터는 비정규직 관계법 제·개정이 추진되던 2006년 '특수고용 연구포럼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하며, 특수고용 비정규직 노동자성 인...
얼굴들_당신이 스쳐 지나간
얼굴들/한국비정규노동센터 기획/이상엽 사진/변정윤, 이혜정, 희정 글 후마니타스/값 20,000원 일이 사람의 이름과 얼굴이 되는 사회 59명의 비정규직 노동자를 만나다 사진가 이상엽과 활동가 변정윤, 기록노동자 이혜정·희정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다시 묻는 사용자 책임_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 대안
공동편저 | 조돈문, 정흥준, 황선웅, 남우근 공동기획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국가인권위원회 매일노동뉴스 | 2021 저자들은 다섯 가지 연구과제를 내놓았다. 첫 번째 과제는 규모 추산이다.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도 모르는데 숙제를 할 수 있을까요. 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의 길_무기계약직 정책을 넘어
공동편저 | 조돈문, 정흥준, 남우근, 김철 공동기획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국가인권위원회 매일노동뉴스 | 2017 무기계약직 고용 형태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 안정성 강화를 통한 노동 조건 개선 방안으로 도입됐다. 필자들은 무기계약직을 과...
[2021 청년자원활동 결과 모음집] 우리가 만난 노동 이야기
[내용] 1부. 우리가 만난 일자리 불평등 -《일자리 불평등》에 대한 청년 인식 조사 _ 권유미, 임경진 2부. 우리가 만난 비정규 노동자 -배달 플랫폼과 노동자의 권리 _ 박지후 -안전이 당연한 건설 노동에 이르기까지 _ 임다윤 -‘유령’이 아닌 &...
[2022년 청년자원활동 결과 모음집] 우리가 만난 노동 이야기
[내용] 1부. 우리가 만난 비정규 노동자 -다큐멘터리 3일 : 오후의 선생님, 방과후강사의 3일 _ 김유정 -함께 걷는 라디오 616회 – 2022.11.9. _ 김유정 -나의 작업일지_서울의 구멍들을 들여다보며 _ 김정화 -‘함께 하는 것’의 의미: 대우...
오줌인형 잡기_콜센터 노동실태와 정책대안
공동편저 : 조돈문, 정흥준, 신희주, 김성호 기획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펴낸 곳 : 매일노동뉴스 | 2022. 9. 여성 노동자들이 얼굴을 붉히며 말한다. ‘오줌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화장실에 가려면 우선 인형부터 가져다 자리에 앉혀 두어야 한다...
투명한 노동자들의 노필터 일 이야기 <일복 같은 소리>
한국비정규노동센터 기획 비정규직 노동자 44인 지음 동녘출판사, 18,000원 [한겨레] 공기 같은 차별, 무시…비정규직 44명의 ‘노동 일기’ [책&생각]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089754.html [세계일보] 서러운 비정규...